
<흑백요리사>가 화제입니다.
한동안 요리 경연 프로가 없어서 아쉬웠는데 넷플릭스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벌써 인터넷엔 출현한 쉐프들 가게 지도가 퍼지는 중입니다. 대부분 출현만 해도 가게 홍보가 되니 승자와 패자가 없는 프로그램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실 이 프로그램의 승자는 100인의 쉐프가 아닌 백종원이란 사실 아시나요?
혹시 프로그램을 보여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지 않았다면 조심하셔야 합니다. 우리는 시청자이기 이전에 사장. 가게를 운영하는 리더니까요.
백종원은 심사위원입니다. 딱히 요리를 하지도 않습니다. 그럼에도 백종원의 날카로운 심사와 다채로운 음식에 대한 지식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백종원이 정말 요리를 사랑하고 또 잘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사실, 백종원 프랜차이즈는 한동안 주춤했습니다. 백종원 프랜차이즈들이 많이 생겼지만 맛도 그저 그렇고 지점마다 맛과 서비스도 차이가 심해서 가기 꺼려진다는 이야기도 있었죠. 그 여론을 의식했는지 백종원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선 직접 운영하 고 있는 프랜차이즈를 찾아가 그 음식을 평가하면서 피드백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지요. 그러다가 <흑백요리사 >가 터진 겁니다.

백종원 프랜차이즈는 백종원 이미지와 스토리를 기반으로 사업을 운영합니다.
합리적 가격과 평균 이상의 맛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백종원의 해박한 음식 지식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죠. 그런데 백종원은 그 음식에 대한 지식을 스스로 증명해 내 지 않습니다. 여러 예능 프로그램과 요리 프로그램에서 심사위원 입장으로 또는 컨설턴트 입장으로 말합니다. 그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는 은연중에 ‘저렇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만든 가게인데 이상이 없겠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거죠.
<흑백요리사>에 나오는 쉐프들은 각자 하나 두 개 가게를 가지고 있을 때 백종원은 전국에 여러 프랜차이즈가 펼쳐져 있습니 다. 홍보 효과가 파급 효과도 당연히 어느 쉐프들보다 크겠죠. 여기서 병원 원장님이라면 꼭 얻어가야 할 인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우아하게 내 자신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쿠팡에 볼펜을 파는 걸 생각해 봅시다. 어떻게 볼펜을 파실 건가요? 누구는 품질을 더 좋게, 또 누구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지 도 모릅니다. 하지만 소비자는 쿠팡 스크롤을 내리면서 검색되지 않으면 우리의 볼펜은 찾을 수 없습니다. 즉, 인터넷에 검색되 지 않는 것은 소비자에게 존재하지 않는 제품이란 것입니다. 비록 그것이 얼마나 좋은 제품인지와는 상관없는 일입니다.
그러니 다양한 마케터가 검색어를 노출하기 위해 여러 기법을 씁니다.
게시글을 도배하기도 하고 검색어를 지속적으로 노출하 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광고는 마치 온라인 뉴스를 보려 하는데 옆에 광고창이 눈을 어지럽히는 것처럼 불쾌감을 줍니다. 그 러니 중요한 것은 우아하게 내 자신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 이야기와 내 철학 그리고 내 가게에 대한 스토리를 들어줄 매체를 찾아야 합니다.
단순히 무엇이 좋다는 식의 상품 카탈로그 형식 글은 매력이 없습니다. 물론 효과가 없다는 건 아닙니다. 분명 전단지 광고로 오는 손님도 있을테니까요. 하지만 잠재고객이 내 가게에서 만족하기 위해선 내가 이 가게에서 느끼는 이 기분의 이유는 무엇인지, 무엇때문에 맛있다고 느끼는지 알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즉, 내 사업, 내 가게 장점이 무엇인지 고객 마음 속에 확실히 박힐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저희가 하는 방식은 그렇습니다. 단순히 몇 만 원 받고, 가게 음식 찍고, 사업 제품을 설명하는 방식과 다릅니다.